성인 아스퍼거 증후군 ADHD와 다른 점은?

집중하지 못하고 의식의 흐름을 따라 나아가는 행동, 나는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일까?

가끔 주변에서 보면 자신만의 세계가 어떤 의식의 흐름대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눈에 보입니다.

우리는 남을 의식하거나 틀에 정해진 사회규범을 지키지 않으면 마치 큰일나는 것처럼 지금까지 주입식으로 배운 교육대로 살아가는데 종종 자유로운 영혼처럼 느껴지는 타인에 대해 그리 관대하지 않은 것은 사회가 만든 편견이 아닐까.

유명한 일론 머스크도 자신이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이라고 밝힌 적이 있습니다.

오늘은 아스퍼거 증후군이 무엇이고 ADHD와의 차이와 스스로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

자펙트럼 장애의 여러 측면 중 하나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같이 대인관계 장애 커뮤니케이션 장애 등 행동이나 자신의 관심 분야, 행동 분야가 나만의 세계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자폐 스펙트럼에 대한 글↓↓↓↓↓최근 본방사수하고 있는 유일한 드라마 ‘기러기 토마토’, 스위스, 인도인 ‘별똥별’, 그리고 우영우, 한국 사회에서 소외된…blog.naver.com

자폐 스펙트럼도 대인관계의 어려움이나 인지발달, 언어발달 등의 문제로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어려운 것이 특징입니다.

그러나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은 언어나 지적 발달이 늦어지지 않아 오히려 소아기에는 몰랐으나 성인이 된 후 사회적 관계나 상대방과의 대화나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겨 발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가 고등학교에 다닐 때 어떤 친구는 수업 중에 갑자기 일어나 운동장으로 나가요.그리고 혼자 천천히 산책을 하거나 운동장 옆 화단에 핀 꽃을 보며 인사를 하기도 합니다.

그때는 상당히 자유로운 영혼이었고 조금 이상하다고 생각하지만 그렇다고 공부를 못하거나 성격에 특별한 이상, 장애로 보이는 신체 행동이 없어서 그냥 혼자만의 세계에 갇혀 사는 친구로 인식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이런 게 아스퍼거 증후군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혹시 나도 아스퍼거 증후군?

  • 상대방의 기분을 생각하지 않고 말하다.

    본인이 해치는 행위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 * 자기 일이 아니면 별로 관심이 없다.

  • * 감정, 말투, 농담 등에 익숙하지 않다.

    특히 농담이나 신조어를 이해할 수 없다.

  • * 남의 이야기에 집중하지 않는다.

  • * 자기가 좋아하는 일에만 집중하다.

  • * 새로운 변화에 적응할 수 없다.

  • * 큰 소리, 빛 등 청각과 시각, 후각에 민감하다.

어른들도 ADHD가 있나?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증후군

소아기에 ADHD가 있는 경우 60% 정도가 성인까지 증상이 지속되는 편입니다.

물론 소아기와는 조금 다르게 주의력 부족과 충동성은 비슷하지만 행동이나 양상이 조금 얌전해지거나 조용해지는 편입니다.

그래서 조용한 ADHD라고도 불립니다.

소아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경우 교육수준이 낮거나 직업을 갖기 어렵고 사회생활과 대인관계, 감정조절 등에 어려움이 많으며 70~80%는 우울증, 불안장애, 섭식장애, 성격장애 등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혹시 나도 ADHD일까?

  • 어려운 부분을 끝내지 못하고 일을 끝내지 못한 경험
  • * 순서대로 일을 진행하는데 어려움 *약속이나 해야할 일을 잊어버리는 경험 *좋아하는 일만 하는 경향 *스스로의 행동이 조절되지 않을 때 *하기 싫은 일에 실수를 자주 할 때 *상대방의 말에 집중하지 못할 때 *순서를 지키기가 어려운 경우 *상대방의 말을 끝까지 듣지 못하고 중간에 자르거나 끼어드는 경우
  • 이외에도 성인 ADHD나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 자폐 스펙트럼은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비슷한 경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는 사람들 대부분이 ADHD도 함께 증상을 보이는 경우도 자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흔히 말하는 자의식, 즉 의식의 흐름에 의해 자신의 행동의 올바름, 혹은 타인이 불편하다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고 자기주도적인 행동을 과감하게 할 경우 단순히 자신만의 세상에서 살고 있다는 표현을 하지만 결론적으로는 사회성이 결여되어 단체생활이나 직장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에는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 정도는 대화가 가능하고 행동에 큰 장애가 없기 때문에 충분히 사회생활을 이어갈 수 있다는 긍정적인 여론이 많습니다.

사실 제대로 치료를 받는 경우 자폐성향을 잘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고 하니까 이런 증상들이 소아기부터 보인다면 적극적인 치료를 받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누구나 자신만의 세계는 있습니다.

그걸 표현하는 표현의 차이가 결국 우리에게 자폐 스펙트럼 혹은 아스퍼거 증후군 등 현대병을 만들어내지 않을까 싶습니다.

#성인아스퍼거증후군 #성인ADHD #재펙트럼 #ADHD증상 #아스퍼거증후군증상